투자 정보

[투자 / 주식] 차트 분석법 7 – 이동평균선의 배열에 따른 매매시점

궁상 2024. 5. 30.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과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는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의 배열에 따른 주식의 매매시점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배열이 위에서부터 주가,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이동평균선 그리고 장기 이동평균선 순서데로 배열이 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이와 같이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의 형태를 띄고 있으면, 투자자들은 해당 주식이 상승추세가 당분간은 계속 이어진다고 생각을 하게 되며, 주식의 매도를 하지 않고 기다리게 됩니다.

 

이동평균선의 역배열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배열 순서는 정배열과는 반대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장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단기 이동평균선 그리고 주가 순서로 나타납니다.

이와 같은 역배열 형태의 차트에서는 하락추세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투자자가 손해를 보고 있으며, 주가가 반등하여 상승 추세로 변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게 일반적인 투자자들의 해석입니다.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스.. 이름부터가 뭔가 돈냄세가 풍기고 투자자들이 좋아할만한 단어입니다.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 단기 이동평균선이 아래에서 시작을 하다가 단기 이동평균선이 급격히 치고 올라가면서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형태의 차트입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차트가 발생 할 때, 주식을 매수하면 황금(골든)을 얻는것과 같은 이익을 낼 수 있다고 하여 골든크로스로 이름이 붙습니다.

다만, 해당 기업의 내실이 튼튼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골든 크로스가 나타나면, 이후에 주가의 급락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주식의 매수 및 매도 시점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데드크로스

데드크로스는 골든크로스의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급락을 하면서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가는 형태의 차트를 말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처분함으로서 현금을 보유할려고 하는 투자자가 많이 나타납니다. 만약, 해당 주식의 향후 전망이 좋다면, 급락한 주식을 사서 보유하는것도 하나의 투자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시점에 따른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해석 차이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급등하는 형태를 뜻합니다. 황금이라는 말이 들어갈 정도로 투자자들에게는 매수타이밍이라고 여겨지는 형태의 차트입니다.

앞서도 이야기 했지만, 급등한 주식은 급등에 대한 반작용으로 급락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든 크로스는 매수가 아닌 매도로 포지션을 받고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데드크로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데드크로스는 주가가 급락하여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석을 뚫고 떨어질때를 말하지만, 떨어진 주식은 언젠가는 오른다는 시장의 경험에 비추어,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여 급락 했을 때 주식을 더 매수하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이 골든크로스를 그리더라도 120일 이동형균선과 20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을 계속하고 있다면 매도시점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를 그리더라도 120일 이동평균선과 200일 이동평균선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면 매수시점으로 해석하는 투자자가 많습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투자전문가가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